HCFC BLAND A 소화약제는 할로겐화합물 3종과 특수 OIL의 혼합물로, 방호구역의 표면화재를 재빨리 진입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,
대기압 상태에서 기체로 존재하기 때문에 특히 밀폐된 방호구역의 화재진압에 효과적이다. 대부분의 일반화재를 20℃에서 8.6% 설계소화농도에 의해
진압할 수 있으며 이 농도수치는 최소소화농도 7.2%에 안전수치 20%를 더한 수치이며 무게량으로는 0.363kg/m2 이다. HCFC BLAND A 소화약제는 고압용기에
장하며 드라이 질소로 가압하며 이때 용기안의 약제는 액체상태를 유지한다.
HALON 1301은 화학적으로 연소반응에 간섭하여 소화하는 약제로서 액화가스 상태로 기기의 심부까지 침투하여 저농도로 화재를 신속히 소화할 수 있다.
무색, 무취로 실내에서 5% 정도를 방출하면 화재를 정지시킬 수 있고 독성도 극히 적으며 산소결핍에 의한 질식 위험성도 거의 없다. 금속에 대한
부식성이 전혀 없으며 액화가스로 존재하고 방사 후 기물의 오손등이 없다. 전기절연성은 질소의 1.8배 이상이며 과냉각의 우려가 없고 평상의 보관상태로는
반영구적으로 변질되지 않아 누설 등의 사고가 없는 한 재충전할 필요가 없다. 이산화탄소에 비하여 소화효과가 뛰어나므로 그 설치용량은 1/3 이하가되어
설치 면적을 줄일 수 있다.
- 불황성이며 적기적 전도성이없는 소화약제가 필수적이거나 바람직할 때
- 다른 소화약제를 사용하는 소화방식보다 설치시보다 경제적이면서도 효과적으로 소화시키려 할 때
- 제품의 유통기간 동안에 소화약제의 물성성 변화가 문제가 될 때
- 국가주요시설 : 박물관, 미술관, 국가 주요문화제, 문서고 등
- 국가기간산업 : 통신시설, 발전시설, 지하철, 이동통신시설, 방송시설 등
- 다중이용시설 : 항공기, 선박 등
- 민간생산시설 : 첨단IT산업, 정유, 석유화학, 반도체, 철강, 조선, 자동차제조 등
- 자체의 산소공급원을 가지고 있는 화학제품
- 나트륨, 칼륨, 마그네슘, 티타늄, 지르코늄, 우라늄, 프로티늄 등 과 같은 반응성 금속
- 금속 수소화합물
- 공기가 없이 급격한 산화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화합물
- 나트륨, 칼륨, 마그네슘, 티타늄, 지르코늄, 우라늄, 프로티늄 등 과 같은 반응성 금속
- 금속 수소화합물
- 청정소화약제중 가장 경제적이다
- 가스방출시 냄새가 오래가는 단점이 있다
- 오존층파괴로 인해 잠정적인 규제대상이다
- 국제적인 인증은 받지 못하였다
- 현존하는 소화약제 중 소화효과가 가장 좋다고 알려져있다
- 프레온(CFC) 계열의 물질로서 오존층 파괴 물질을 발생하여 2010년부터 생산이 중단되었다
- 향후 유지보수의 어려움이 있다
물성 | NAS S-III | HALON |
---|---|---|
구분 | HCFC BLEND A | HALON 1301 |
오존층파괴지수 (ODP) | 0.036 | 12 |
지구온난화지수 100년 (GWP) | 1,450 | 5600 |
NOAEL (%) | 10 | 5 |
LC 50 (%) | 70 | 80 |
설계농도 (%) | 8.6 | 5 |
최대허용 설계농도 (%) | 10 | 5 |
저장압력 | 42.2 kg/cm2 | 25.3 kg/cm2 |
분사헤드높이 | 3.7 M | 3.7 M |
사용배관 | SCH # 40 | SCH # 40 |
비고 | ||
1) NOAEL(NO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)는 해로운 생리학적 또는 독성학적 영향이 관측되지 않는 최고농도를 말한다.
2) LC(lethal Concentration)50 이란 4시간 동안 쥐에게 노출했을때 그 중 50%가 사망하는 농도를 말한다. |